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만
페이지 정보

본문
쿠팡 퀵플렉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적 피부질환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세계 소아 인구의 약 30%가 겪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 산모의 병원성 장내미생물과 식이섬유 섭취 부족 때문에 발병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은 김희남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팀이 산모 장내의 특정 병원성 공생균 우세와 식이섬유 섭취 부족이 아토피 피부염 발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9일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에 공개됐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적 피부질환으로 지난 수십년간 발병이 증가하는 추세다. 보통 생후 3~6개월 사이에 발병해 생후 12개월 이내에 증상을 보인다. 그동안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학적 이해는 주로 피부 조직에 초점을 맞췄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이 단순 피부질환이 아닌 장내미생물의 교란으로 인한 전신성 염증 질환이라는 증거가 다수 나오며 연구 국면이 전환되고 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장내 주요 우점균인 피칼리박테리움(학명 Faecalibacterium) 속의 일부 병원성 종이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소아 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우점균은 특정 생태계 내에서 미생물 군집을 구성하는 균류 중 존재 비율이 가장 높거나 활동량이 가장 많은 균종을 말한다. 김희남 고려대 교수팀이 제시한 아토피 피부염 발병 모델. 장내미생물인 피칼리박테리움 병원성 공생균이 유익균보다 우세하고 모체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한 경우 모체와 자손 모두에서 전신 염증이 증가했다. 자손의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피부 조직 손상이 유발돼 아토피 피부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희남 고려대 교수 제공 연구팀은 해당 균이 실제로 피부 증상을 유발하는 과정을 쥐 실험을 통해 재현했다. 모체의 장내에 피칼리박테리움 병원성 공생균을 주입한 결과 모체와 자손 쥐 모두에서 전신 염증이 관찰됐다. 모체에 식이섬유가 부족한 사료를 제공하자 자손에서 전신 염증이 증폭되고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피부 병변까지 이어졌다. 이번 연구결과는 아토피 피부염이 산모 장내 특정 병원성 공생균과 식이섬유 섭취 부족으로 유발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사례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임신 혹은 출산 전 모체의 장내에서 피칼리박테리움 병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적 피부질환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세계 소아 인구의 약 30%가 겪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 산모의 병원성 장내미생물과 식이섬유 섭취 부족 때문에 발병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은 김희남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팀이 산모 장내의 특정 병원성 공생균 우세와 식이섬유 섭취 부족이 아토피 피부염 발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9일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에 공개됐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적 피부질환으로 지난 수십년간 발병이 증가하는 추세다. 보통 생후 3~6개월 사이에 발병해 생후 12개월 이내에 증상을 보인다. 그동안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학적 이해는 주로 피부 조직에 초점을 맞췄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이 단순 피부질환이 아닌 장내미생물의 교란으로 인한 전신성 염증 질환이라는 증거가 다수 나오며 연구 국면이 전환되고 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장내 주요 우점균인 피칼리박테리움(학명 Faecalibacterium) 속의 일부 병원성 종이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소아 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우점균은 특정 생태계 내에서 미생물 군집을 구성하는 균류 중 존재 비율이 가장 높거나 활동량이 가장 많은 균종을 말한다. 김희남 고려대 교수팀이 제시한 아토피 피부염 발병 모델. 장내미생물인 피칼리박테리움 병원성 공생균이 유익균보다 우세하고 모체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한 경우 모체와 자손 모두에서 전신 염증이 증가했다. 자손의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피부 조직 손상이 유발돼 아토피 피부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희남 고려대 교수 제공 연구팀은 해당 균이 실제로 피부 증상을 유발하는 과정을 쥐 실험을 통해 재현했다. 모체의 장내에 피칼리박테리움 병원성 공생균을 주입한 결과 모체와 자손 쥐 모두에서 전신 염증이 관찰됐다. 모체에 식이섬유가 부족한 사료를 제공하자 자손에서 전신 염증이 증폭되고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피부 병변까지 이어졌다. 이번 연구결과는 아토피 피부염이 산모 장내 특정 병원성 공생균과 식이섬유 섭취 부족으로 유발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사례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임신 혹은 출산 전 모체의 장내에서 피칼리박테리움 병원성 공생균이 높은 비율로 존재할 경우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병 위험이 증가하므로 예방 및 치료 차원의 조기 개입이 필요할
쿠팡 퀵플렉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