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긴급 인터뷰]러시아 밀착했던 北소홀했던
페이지 정보

본문
검단 어린이치과
[전문가 긴급 인터뷰]러시아 밀착했던 北소홀했던 中 관계 관리 위해 방중 결정한미일 맞서 북중러 강화김정은, 다자 무대 데뷔 의미도대외 활동 본격화하며 트럼프도 만날듯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중국 전승절에 참석한다고 중국 외교부가 28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방중이 성사된다면 김정은의 첫 다자 외교 참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9년 2월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대러 관계에 집중해온 김정은이 이번 전승절 참석을 계기로 대외 활동을 본격화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도 커졌다는 관측도 나왔다.앞서 중국으로부터 초청을 받고 전승절 참석을 고민했던 이재명 대통령이 우원식 의장 참석 결정을 번복하고 직접 가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지만, 전문가들은 미국과 신뢰를 위해 기존 결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이런 가운데 이재명 정부가 해외 30여 곳의 특임 공관장들을 후임도 정해놓지 않고 급히 귀국 조치해 ‘김정은 전격 방중’ 같은 긴급 상황에서 주중 한국 대사가 두 달 가까이 공석인 것은 뼈아픈 점으로지적된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제45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신범철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이날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북한은 기본적으로 중국과 러시아 간의 균형 외교로 대내외 영향력을 극대화해왔다”면서 “하지만 최근 러시아 파병으로 북러 동맹 조약까지 맺으면서 북중 관계가 상대적으로 소홀해졌다”고 말했다.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미국 중재로 진행 중인 만큼, 북한으로서는 대중 관계를 회복해 중국의 경제·외교적 지원도 얻어내며 대외 환경을 개선할 필요성이 생겼다는 것이다.중국 전승절은 1945년 9월 3일 중국이 일본 항복 문서를 받은 직후부터 기념됐지만 지금같이 각국 정상이 참석하는 대규모 공식 기념일로 제정된 것은 2014년부터다.주재우 경희대 교수는 “2014년 당시 김정은은 부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3년상을 치르고 있어 전승절에 못 갔고, 그 이후에도 집권 초라서 여의치 않아 최룡해 당 비서를 대신 보냈다”면서 “김정은은 이번 첫 참석으로 한미일에 대응하는 북중러 관계를 공고히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북한이 그[전문가 긴급 인터뷰]러시아 밀착했던 北소홀했던 中 관계 관리 위해 방중 결정한미일 맞서 북중러 강화김정은, 다자 무대 데뷔 의미도대외 활동 본격화하며 트럼프도 만날듯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중국 전승절에 참석한다고 중국 외교부가 28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방중이 성사된다면 김정은의 첫 다자 외교 참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9년 2월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대러 관계에 집중해온 김정은이 이번 전승절 참석을 계기로 대외 활동을 본격화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도 커졌다는 관측도 나왔다.앞서 중국으로부터 초청을 받고 전승절 참석을 고민했던 이재명 대통령이 우원식 의장 참석 결정을 번복하고 직접 가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지만, 전문가들은 미국과 신뢰를 위해 기존 결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이런 가운데 이재명 정부가 해외 30여 곳의 특임 공관장들을 후임도 정해놓지 않고 급히 귀국 조치해 ‘김정은 전격 방중’ 같은 긴급 상황에서 주중 한국 대사가 두 달 가까이 공석인 것은 뼈아픈 점으로지적된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제45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신범철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이날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북한은 기본적으로 중국과 러시아 간의 균형 외교로 대내외 영향력을 극대화해왔다”면서 “하지만 최근 러시아 파병으로 북러 동맹 조약까지 맺으면서 북중 관계가 상대적으로 소홀해졌다”고 말했다.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미국 중재로 진행 중인 만큼, 북한으로서는 대중 관계를 회복해 중국의 경제·외교적 지원도 얻어내며 대외 환경을 개선할 필요성이 생겼다는 것이다.중국 전승절은 1945년 9월 3일 중국이 일본 항복 문서를 받은 직후부터 기념됐지만 지금같이 각국 정상이 참석하는 대규모 공식 기념일로 제정된 것은 2014년부터다.주재우 경희대 교수는 “2014년 당시 김정은은 부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3년상을 치르고 있어 전승절에 못 갔고, 그 이후에도 집권 초라서 여의치 않아 최룡해 당 비서를 대신 보냈다”면서 “김정은은 이번 첫 참석으로 한미일에 대응하는 북중러 관계
검단 어린이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