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앵커 ▶일부 국가에서
페이지 정보

본문
홈페이지상위노출
[뉴스투데이]◀ 앵커 ▶일부 국가에서 약재나 식용으로 쓰이는 매미 유충을 외국인들이 최근 도심 풀숲에서 대량 채집하고 있는데, 이를 제한할 수 있는 규정은 없는 실정입니다.무분별한 채집은 개채수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상황인데요.김영일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가 저물고 운동하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청주 무심천 산책로입니다. 그런데 건너편에서는 여러 명의 사람들이 손전등을 비춰가며 나무와 풀숲을 뒤지고 있습니다. 한참 동안 주위를 살피던 남자는 비닐봉지 안에 무언가를 계속 주워담습니다. [매미 유충 채집 외국인(음성변조)] <지금 뭐 잡으시는 거예요?> 매미요. <어떻게 하시는 거예요? 잡아서.> 술과 같이 (먹어.) 다리 아파서…"다가가 매미 유충을 어떻게 잡는지 보여달라고 요청해 봤습니다.얼마 지나지 않아 나무에서, 그리고 땅 위에서 매미 유충이 발견됩니다.[매미 유충 채집 외국인(음성변조)] "이거 먹어도 돼. 이거 영양, 영양… 맛있어."30분도 안 돼 불룩해진 봉투 안은 매미 유충으로 가득합니다.[매미 유충 채집 외국인(음성변조)] "약 좀 만들려고요. 다른 약 같이 섞어서 해야 돼요. 신경통, 신경…"생태계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큽니다.저녁만 되면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무분별한 채집이 이뤄지는데, 그 양이 많아도 너무 많다는 겁니다. [박종순/청주충북환경련 사무처장] "이렇게 다 잡아가 버리면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는 거고요."매미 유충 채집을 막아달라는 신고와 민원이 쏟아지고 있지만, 단속하거나 제한할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조용학/청주시 자연보전팀장] "포유류나 조류 같은 경우는 포획 금지 대상인데 매미 유충 같은 경우는 여기에서 빠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이게 그 포획을 제한할 수 있는 강제 규정이 없다 보니까…"전국적으로 관련 민원이 쏟아지면서 매미 유충 채집을 금지하는 현수막을 게시하거나, 조례를 통해 과태료 부과를 예고하는 지자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MBC뉴스 김영일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 연인 기승인 폭염에 경남 남해안도 달아 오르고 있다. 경남권 최대 양식 활어 산지인 통영시 산양읍 한 양식장에서 고수온 대응을 위해 양식장 수조 위에 차광막을 씌우고 있다. 김민진 기자 “사람 잡는 폭염인데, 펄펄 끓는 물 속에 갇힌 놈들은 오죽하겠습니까.”잔뜩 찌푸린 날씨에 간간히 빗방울까지 떨어진 3일 오전 9시께 경남권 최대 양식어류 산지인 통영시 산양읍 앞바다. 먹구름이 햇볕을 가렸는데도, 바다 위 양식장에 발을 디딘 순간 숨이 턱 막힌다.피할 공간이라도 있는 육지와 달리 그늘 한 칸 없는 이곳에선 서 있는 것 자체가 고역이다.출하를 앞둔 2년산 조피볼락(우럭) 5000여 마리가 들어찬 수조는 쥐 죽은 듯 고요하다. 표층 수온이 오르자 1도라도 낮은 저층으로 피신한 탓이다.수심 4m 바닷속 온도를 나타내는 수온계엔 28.3도가 찍힌다. 어장주는 속이 타들어 간다. 양식장 전체에 가림막을 두르고 산소발생기도 가동하며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치솟는 수온을 막기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지난해 떼죽음 피해를 경험했던 어장주는 당시 악몽이 떠오른 듯 깊은 한숨을 토해낸다. 1ha 어장에 든 물고기만 30만여 마리다. 그는 “지난주까지만 해도 그나마 괜찮더니 주말 직전부터 갑자기 올랐다. 열대야처럼 해가 져도 식질 않고, 자정이 돼도 마찬가지다. 오늘은 해가 없는 오전인데도 이 정도”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통영시 스마트 양식장 수온 정보. 모바일 캡처 보통 양식 어류는 바닷물 온도가 28도를 넘는 고수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시름시름 앓다 폐사해 버린다.통영시가 1~2시간 단위로 제공하는 관내 연안 수온 정보를 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59개 관측지점 평균 수온은 28.4도다. 수심인 얕은 일부 해역은 벌써 사흘째 30도를 웃돌고 있다. 이미 한계점을 지난 셈이다.지난달 중순까지 주춤하던 수온은 지난주 중반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우상향하는 모양새다. 연일 기승인 폭염의 기세에 덩달아 끓어오르기 시작한 것이다.더디게 달아오르는 만큼 더디게 식는 바닷물 특성상 일단 폐사가 시작되면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겨우 숨이 붙은
홈페이지상위노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