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섬 탐방기 ①] 다양한 얼굴을
페이지 정보

본문
내구제
[인도네시아 섬 탐방기 ①] 다양한 얼굴을 가진 신들의 섬, 발리2025년 7월 15일부터 22일까지 학교 동문 여럿이 인도네시아의 두 섬을 다녀왔습니다. 섬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들을 몇 차례 소개하려고 합니다. <기자말>덴파사르 응우라라이 국제공항은 발리(Bali)로 들어가는 입구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인도네시아를 재침략한 네덜란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독립 영웅 응우라라이(I Gusti Ngurah Rai)를 기념해 공항 이름을 지었다. 해마다 2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 공항을 통해 발리섬으로 들어온다. 대부분이 여행객들이다. 외국인 방문객 1위는 호주인이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물가가 싸서 은퇴한 호주 시니어들이 즐겨 찾는 휴양지라고 한다.국제나눔지수 1위 국가, 인도네시아공항 출국장은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 쓴 손팻말을 들고 방문객을 기다리는 현지인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여행지 안내를 맡은 젊은이가 유창한 한국어로 인사말을 건넨다. 첫 방문지는 발리섬의 문화와 예술 중심지인 우붓(Ubud)이다. 어렵사리 공항을 빠져나와 도로로 접어들었다. 모든 차량이 좌측으로 움직인다. 영국의 영향을 직접 받은 것도 아닌데 좌측통행인 이유가 뭘까. 네덜란드 때문이다.인도네시아는 17세기 초 동인도회사가 만들어진 때부터 독립을 선언(1945년 8월)할 때까지 무려 3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다. 지금 네덜란드는 우측통행을 하지만 20세기 이전에는 좌측으로 통행하는 나라였다. 우리나라 국가 철도와 지하철 1호선처럼 식민 잔재가 남겨진 셈이다(섬나라는 좌측으로 통행한다고 믿는 이가 많은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자동차와 오토바이가 좁은 도로 위를 마치 곡예를 하듯이 달린다. 언뜻 봐도 오토바이가 자동차보다 훨씬 많다. 차간 간격이 좁아 무척 위험해 보이는데, 운전자들의 얼굴은 평안하다. 끼어들기를 하거나 앞차를 가로질러도 화를 내는 이가 없다. 낯선 장면이다. 어둠이 짙게 깔린 구불구불한 길을 한참 달려 숙소에 당도하자 먼저 섬에 상륙한 일행이 반가운 얼굴로 맞이해준다.처음 발리섬 투어 제안을 받았을 때, 썩 마음이 내키지 않았다. 관광 목적의 여행을 좋아하지 않는 데다가 비행기가 환경 오염의 일등 공신이라는 사실을 알고부터 국외 여행을 자제해야 한다는 자각이 작용한 탓이다. 그럼에도 인도네시아행을 결심하게 된 이유는 '300개가 넘는 인종으로 구성된 나라가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포용적인 국가가 되었을까?'에 [인도네시아 섬 탐방기 ①] 다양한 얼굴을 가진 신들의 섬, 발리2025년 7월 15일부터 22일까지 학교 동문 여럿이 인도네시아의 두 섬을 다녀왔습니다. 섬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들을 몇 차례 소개하려고 합니다. <기자말>덴파사르 응우라라이 국제공항은 발리(Bali)로 들어가는 입구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인도네시아를 재침략한 네덜란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독립 영웅 응우라라이(I Gusti Ngurah Rai)를 기념해 공항 이름을 지었다. 해마다 2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 공항을 통해 발리섬으로 들어온다. 대부분이 여행객들이다. 외국인 방문객 1위는 호주인이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물가가 싸서 은퇴한 호주 시니어들이 즐겨 찾는 휴양지라고 한다.국제나눔지수 1위 국가, 인도네시아공항 출국장은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 쓴 손팻말을 들고 방문객을 기다리는 현지인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여행지 안내를 맡은 젊은이가 유창한 한국어로 인사말을 건넨다. 첫 방문지는 발리섬의 문화와 예술 중심지인 우붓(Ubud)이다. 어렵사리 공항을 빠져나와 도로로 접어들었다. 모든 차량이 좌측으로 움직인다. 영국의 영향을 직접 받은 것도 아닌데 좌측통행인 이유가 뭘까. 네덜란드 때문이다.인도네시아는 17세기 초 동인도회사가 만들어진 때부터 독립을 선언(1945년 8월)할 때까지 무려 3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다. 지금 네덜란드는 우측통행을 하지만 20세기 이전에는 좌측으로 통행하는 나라였다. 우리나라 국가 철도와 지하철 1호선처럼 식민 잔재가 남겨진 셈이다(섬나라는 좌측으로 통행한다고 믿는 이가 많은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자동차와 오토바이가 좁은 도로 위를 마치 곡예를 하듯이 달린다. 언뜻 봐도 오토바이가 자동차보다 훨씬 많다. 차간 간격이 좁아 무척 위험해 보이는데, 운전자들의 얼굴은 평안하다. 끼어들기를 하거나 앞차를 가로질러도 화를 내는 이가 없다. 낯선 장면이다. 어둠이 짙게 깔린 구불구불한 길을 한참 달려 숙소에 당도하자 먼저 섬에 상륙한 일행
내구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