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밤새 촉각…새벽 6시쯤 트럼
페이지 정보

본문
동두천치과
대통령실, 밤새 촉각…새벽 6시쯤 트럼프 만남 공지"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 없다…자동차 관세 아쉬움" 이 대통령 "큰 고비 넘겼다…국력 키워야겠단 생각"[앵커]이번 협상의 컨트롤 타워가 됐던 용산 대통령실 연결해 더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최규진 기자, 당초 오늘(31일) 밤에 협상이 이뤄질 거라고 했는데, 갑자기 협상타결이 임박했다는 소식에 대통령실도 새벽부터 분주했다고요?[기자]대통령실은 어젯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진 협상에 밤새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했습니다.새벽 6시 7분에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 "우리 측 대표단이 곧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다"고 긴급 공지를 했는데요.오전 7시 16분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합의 소식을 발표했고, 약 1시간 뒤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했습니다.김 실장은 40분 가까이 그간의 협상 과정에 대해 설명했는데요.특히 정치적 부담이 컸던 쌀과 소고기 시장의 추가 개방을 막아냈다는 점을 집중 부각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직접 들어보겠습니다.[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우리 정부 내에서 협상 전략을 논의할 때도 부처 간에 고성이 오가고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대통령께서 판단하실 때는 농·축산물이 가진 정치적 민감성, 우리의 어떤 역사적 배경 이런 점을 충분히 감안해서, 그쪽을 추가 개방을 우리가 막는 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앵커]쇠고기·쌀 추가 개방은 막았지만, 자동차 협상 결과에 대해선 아쉽다는 평가가 나오는데 대통령실은 어떻게 평가하나요?[기자]상호 관세 인하는 성과지만, 자동차는 아쉽다는 게 김용범 정책실장의 설명입니다.기존 한미 FTA로 무관세였던 우리 입장에선 12.5%가 합리적이라는 논리를 펼쳤는데요.트럼프 대통령이 끝내 15%를 고수하면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김 실장의 설명을 한번 더 들어보겠습니다.[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저는 12.5%를 끝까지 주장했는데. '됐고, 우리는 이해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15%다' 이렇게 해서, 그것을 거기 가서 하려고 하면 또 여러 틀이 흔들리고 (해서.) FTA라는 것이 상당히 많대통령실, 밤새 촉각…새벽 6시쯤 트럼프 만남 공지"쌀·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 없다…자동차 관세 아쉬움" 이 대통령 "큰 고비 넘겼다…국력 키워야겠단 생각"[앵커]이번 협상의 컨트롤 타워가 됐던 용산 대통령실 연결해 더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최규진 기자, 당초 오늘(31일) 밤에 협상이 이뤄질 거라고 했는데, 갑자기 협상타결이 임박했다는 소식에 대통령실도 새벽부터 분주했다고요?[기자]대통령실은 어젯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진 협상에 밤새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했습니다.새벽 6시 7분에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 "우리 측 대표단이 곧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다"고 긴급 공지를 했는데요.오전 7시 16분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합의 소식을 발표했고, 약 1시간 뒤 김용범 정책실장이 브리핑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했습니다.김 실장은 40분 가까이 그간의 협상 과정에 대해 설명했는데요.특히 정치적 부담이 컸던 쌀과 소고기 시장의 추가 개방을 막아냈다는 점을 집중 부각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직접 들어보겠습니다.[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우리 정부 내에서 협상 전략을 논의할 때도 부처 간에 고성이 오가고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대통령께서 판단하실 때는 농·축산물이 가진 정치적 민감성, 우리의 어떤 역사적 배경 이런 점을 충분히 감안해서, 그쪽을 추가 개방을 우리가 막는 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앵커]쇠고기·쌀 추가 개방은 막았지만, 자동차 협상 결과에 대해선 아쉽다는 평가가 나오는데 대통령실은 어떻게 평가하나요?[기자]상호 관세 인하는 성과지만, 자동차는 아쉽다는 게 김용범 정책실장의 설명입니다.기존 한미 FTA로 무관세였던 우리 입장에선 12.5%가 합리적이라는 논리를 펼쳤는데요.트럼프 대통령이 끝내 15%를 고수하면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김 실장의 설명을 한번 더 들어보겠습니다.[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저는 12.5%를 끝까지 주장했는데. '됐고, 우리는 이해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15%다' 이렇게 해서, 그것을 거기 가서 하려고 하면 또 여러 틀이 흔들리고 (해서.) FTA라는 것이 상당히 많이 지금 흔들리고 있는 거죠.]다만 일본과의 경제규모에 비교해 우리나라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동두천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