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화 '선을
페이지 정보

본문
이경화 '선을 긋다' 표지 /사진=교보문고 제공 서예가로 10년 이상 커리어를 쌓은 이경화 작가가 자신의 서예 인생을 정리한 에세이 <선을긋다: 서예와 캘리그라피에서 인생을 배우다>(머메이드)를 펴냈다. 취미활동으로 시작한 서예가 직업이 되기까지의 과정이 담긴 에세이에는 서예와 캘리그라피에서 배운 ‘인생’에 관한 깊이 있는 사유가 담겨있다. 저자는 결혼과 육아로 ‘나’자신을 잃어버린 채 살았고, 불안했던 일상에서 마주한 서예에 매료됐다고 고백한다. 선을 긋고 문자를 완성해 나가는 행위에서 안정감과 위로를 얻은 것이다. 이경화 작가/사진=본인 제공 타고난 몽상가였던 그의 관심사는 붓을 잡고 글씨를 쓰는 방법에서 시작해 예술과 역사, 사회와 문화 영역을 넘나들며 ‘문자예술’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나아가 그의 사유에는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부여된 역할이 아닌, 나로 살기 위한 ‘욕망’이 응축되어 있다. “그냥 해오던 나의 일과 서예가 주체적 관점으로 바뀌었고, 이러한 변화는 삶을 바라보는 태도까지 바꿔주었다. 붓을 잡고 있을 때 나로 존재함은 글과 문자로 표현되며, 함께 공감하는 대상을 만날 때의 설렘은 내가 살아 있음을 느끼게 했다”(p.306) 책은 총 7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7장에는 서예를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붓 잡는 법, 선 긋는 방법, 자음‧모음 쓰기 방법 등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한 한글 궁체에 현대적 해석이 더해진 작가만의 화풍이 담긴 서예 작품이 담겨 있어 시각적 즐거움을 더한다. 이경화 작가는 에필로그를 통해 “선을 긋고 선을 넘는 삶은 ‘나’를 넘어 새롭게 펼쳐질 세상으로 한 발 내딛는 용기와 도전이었다”라며 “자신을 한정 짓던 경계의 선에서 이제 한 발 내디뎠을 뿐이다. 나와 발걸음을 함께한 당신에게도 문자의 향기가 깃들길 바란다”고 밝혔다. 작가는 전주대학교 한문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를 수료했다. 전북서예협회 초대작가, 현대서예문인화협회 초대작가이며 지난해 세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일대 빌라 밀집지 전경. 매경DB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2년 만에 수천만원씩 급등하며 세입자 부담을 가중한 것과는 반대로 연립·다세대(빌라) 시장에선 3채 중 1채꼴로 2년 전보다 전셋값이 하락하는 ‘역전세’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2023년 상반기와 2025년 상반기 전국 연립·다세대 실거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동일 평형의 전세 계약이 있었던 1만4550개 평형(타입) 중 31.9%에 달하는 4641개에서 전세 보증금이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역전세 현상은 실제 평균 전셋값 하락으로도 이어졌으며 특히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시장 침체가 두드러졌다. 인천의 연립·다세대 전셋값은 2년 전보다 평균 7% 하락했으며 대구 역시 9.7% 급락했다. 그 외 부산(-3.5%), 대전(-4.3%), 세종(-5.2%) 등 주요 광역시에서도 내림세가 뚜렷했다.반면 서울과 경기는 각각 2.4%, 0.5%로 소폭 상승하며 수도권 내에서도 온도 차를 보였다. 하지만 이마저도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전셋값 평균 상승률(11.7%)에 비하면 사실상 보합 수준에 그친다.이러한 평균 전셋값 하락은 높은 역전세 발생 비율로 직결됐다. 인천은 분석 대상 평형의 70.2%가 역전세 상황에 놓여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대구(64.3%), 부산(48%), 대전(44.1%) 등 평균 전셋값이 하락한 지역에서 높은 역전세 비율을 보였다. 역전세가 발생한 빌라들은 전국적으로 평균 1억8268만원에서 1억6518만원으로 2년 만에 전셋값이 1751만원 감소(-10.3%)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주광역시는 역전세가 발생한 빌라들의 평균 하락액이 3364만원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대구(-2524만원), 제주(-3750만원) 등도 높은 하락액을 기록했다. 결국 올해 상반기 주택 임대차 시장은 아파트와 빌라가 전혀 다른 길을 걷고 있음이 데이터로 증명됐다. 아파트 시장은 매매 시장 불확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