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성 변호사가 2021년 4월
페이지 정보

본문
동두천치과
임재성 변호사가 2021년 4월6일 국가정보원에서 받은 퐁니 학살 조사 자료. 임재성 제공 1969년 11월, 중앙정보부는 한국군의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사건 중 하나인 퐁니 학살을 직접 조사했다. 1968년 2월12일 사건이 일어난 지 1년9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 국가정보원(중앙정보부의 후신)이 이 조사자료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2017년에야 드러났다. 이후 대한민국은 이 자료를 감추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했다. 이번 화의 ‘날짜’는 국정원이 퐁니 학살 조사자료를 ‘비공개’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2017년 8월16일이다.피고 대한민국이 처절하게 ‘깨진’ 이유피고 대한민국은 1968년 베트남 퐁니 학살의 피해자 응우옌티탄이 제기한 국가배상소송 1심과 2심에서 모두 패소했다. 왜 졌을까? ‘학살이 실제 있었기 때문에 졌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 법정에서 진실이 늘 이기지는 않기 때문이다. 패소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피고 대한민국이 법정 내외부에서 진실을 감추려는 모습을 노골적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당장 법정에서 보이는 행태만으로 ‘나쁜 쪽’이 확연하다면, 판사의 무게추는 반대쪽으로 쉽게 기울 수밖에 없다.재판부가 가장 주목한 것은 ‘국정원이 보유한 1969년 조사자료 비공개’ 결정이었다. 재판부는 변론 절차와 판결문 곳곳에서 피고 대한민국의 ‘현재적 은폐행위’를 매섭게 비판했고, 국정원의 엉성한 변명은 처절하게 깨졌다.베트남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운동이 시작된 2000년, 한겨레21의 인터뷰로 이 사건에 대해 국정원 조사가 실재했음이 드러났다. 퐁니 학살을 수행한 청룡부대 1대대 1중대 각 소대장 3명은 인터뷰에서 모두 ‘1969년 11월 중앙정보부에서 직전 해에 벌어진 퐁니 학살에 대해 조사받았다’고 증언했다. 퐁니 학살은 그 잔학성으로 당시 한국과 베트남, 그리고 미국에까지 알려졌기에 군을 넘어 정보기관까지 직접 조사할 수밖에 없었다.필자는 이 인터뷰를 15년이 지난 뒤 접하고 국정원 자료가 남아 있는지, 있다면 어느 기관이 보관하는지 궁금해졌다. 2000년의 탐색이 멈춘 자리에서 조금 더 나아가고 싶었고, 정보의 존재 여부경북 의성군 사촌마을 고즈넉한 돌담길과 굽이진 골목은 마치 15세기 초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듯한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지난 7월 25일 행정정사 상량식(上樑式)이 거행됐다. 권병건 기자 이곳은 성리학이 지역사회의 질서와 교육을 이끌던 시절, 행정 권식(1423~1485)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행정정사(杏亭精舍)'가 자리했던 곳이다.570년 전, 행정정사는 학문과 예절, 공동체 윤리가 살아 숨 쉬는 사촌마을의 심장이었다. 그러나 세월의 풍화와 시대의 변화 속에 정사는 사라졌고, 마을의 정신적 뿌리 또한 희미해졌다.이제 후손과 주민, 지자체가 힘을 모아 사라진 유학의 산실을 되살리는 대역사가 시작됐다. 지난달, 오랜 준비 끝에 복원 공사의 첫 삽이 떴다.◆ "행정정사는 사촌 유학 전통의 심장"사촌마을에서 정사는 단순한 건물이 아니었다. 성리학적 가치가 구현되던 학문과 교육, 공동체 윤리의 중심지였다.권식 선생은 입향 후 행단을 조성해 후학을 양성하고 문중 교육에 힘쓰며 지역 학문 발전의 초석을 다졌다. 그의 가르침은 수많은 학자를 길러내는 밑거름이 됐으며, 정사의 부재는 곧 유학적 가치의 단절을 의미했다. 이 때문에 주민들에게 정사는 오랜 세월 아쉬움으로 남아 있었다.◆ "복원은 곧 학문 유산 회복"전문가들은 행정정사의 복원이 단순한 건물 재현을 넘어 지역 학문사와 정체성을 회복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평가한다.강현국 전 대구교육대학교 총장은 "행정정사는 사촌마을의 유교적 전통과 지적 공동체 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이었다"며 "이번 복원은 사라진 학문적 유산을 되살리고 후손들에게 뿌리 의식과 문화적 자긍심을 심어주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복원 이후 행정정사는 전통 교육과 학술 교류의 장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청소년에게는 유학과 예절 교육의 현장이, 학계에는 전통사상의 가치를 되새기는 학문적 자원이, 방문객에게는 한국 전통교육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손과 지자체가 함께 만드는 '살아있는 역사'권식
동두천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